유럽문화학부_logo

학부소개

학과개요

통일과 유럽연합(EU)의 출범과 더불어, 독일은 유럽 중심 국가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능숙한 독일어 구사 능력과 독일 문화와 문학에 관한 폭넓은 교양과 지식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는데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용적인 차원에서 독일어 및 독일 지역학 교육과 문화인으로서의 안목을 키우는 차원에서 독일 문학 수업을 결합함으로써 외국어 실력과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한 유능한 젊은이를 키워내는 것이 우리 학과의 목표이다. 독일어능력은 선진적인 어학교육방식에 따라 다채로운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되는 독일인 교수의 회화 수업과 작문·독해·문법 등의 체계적인 언어수업을 통해 내실 있게 향상시켜 나갈 수 있다. 독일학 강의에서는 독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를 꿰뚫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독일의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세계를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는 지적 훈련의 몫은 독문학 강좌들이 맡고 있다.


학과 학업에 필요한 특성

독일문학과 문화에 대해 공부하려면, 우선 수준 높은 독일어 텍스트 독해 능력과 회화능력이 겸비되어야만 한다. 또한 유럽의 심장인 독일과 유럽지역에 대한 지역학적 정보와 독일의 역사와 사회, 독일의 문학과 예술을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인문학적 지식이 요구된다.

학과개요

프랑스어는 현재 전 세계에서 약 40여 개 국, 2억여 명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통합 이후, 프랑스의 위상 및 프랑스어의 활용도는 한층 높아지고 있다. 프랑스어문학전공은 이러한 국제적인 변화에 발맞추어 학생들이 사회에서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활약을 펼칠 수 있도록 프랑스와 관련된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용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프랑스 사회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인문학적 교양과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학과 학업에 필요한 특성

프랑스어문학 전공 교과목은 크게 언어·문학·문화로 나뉘며, 단지 실용 프랑스어만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유구한 전통을 지닌 프랑스 역사와 문학 그리고 문화 강의를 통해 프랑스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학업 수행을 위해서는프랑스어에 대한 적성만이 아니라 문학적인 감수성 그리고 역사와 문화에 대한 지적 호기심과 열정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은 복수전공 및 연계전공을 통해 프랑스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지적·실무적 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학과개요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를 가지고 있으며, 찬란한 문화유산과 무궁무진한 경제적 잠재력을 보유한 나라이다. 또한 유럽 최대의 언어권 국가로서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가교이자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정세 및 남북통일 문제에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 국가이다. 이와 관련하여 러시아어문학전공은 다음과 같은 교육 특징을 가진다.


학과 학업에 필요한 특성

열린사고력과 언어적 능력, 러시아에 대한 관심

교육목표

인문대학

교육목적
세계 인류의 미래 안정과 평화, 발전에 이바지할 인문학적 전문인 양성

교육목표
• 첫째, 기초 학문으로서의 인문학 역량 함양을 통한 전인적 교양인 양성
• 둘째, 실용적인 글로벌 소통 능력과 동서양의 전문지식을 겸비한 인문학 특화 인재양성
• 셋째, 인문학적 비판력과 융합 능력을 갖춘 진취적인 창의 인재 육성
• 넷째, 다양한 인류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세계 평화와 복지 증진에 주도적으로 기여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유럽문화학부

교육목적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올곧은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인류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럽지역 전문인 양성

교육목표
• 인간과 사물에 대한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안목을 갖춘 인문학적 소양인으로서의 유럽 전문가 양성
• 수준 높은 어학능력을 바탕으로 유럽의 문학과 문화, 사회와 역사, 정치와 경제에 능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
• 비판적 사고력, 도전적 실험정신 그리고 융합 능력을 토대로 인류와 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이고 진취적으로 해결해내는 인재 육성
• 보편적 가치관에 입각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개방된 시각을 지닌 세계인 양성

공지사항

Total 83건 1 페이지
공지사항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2026학년도 1학기 전공개방모집 입학자 대상 전공개방 세미나 관련하여 공지합니다.

https://human.cau.ac.kr/community/notice/View.asp?IDX=6726

 

1. 인문대학 전공개방 신청조건

 가. 대상: 전공개방모집 입학자

 나. 신청조건

  ① 2학기 이상 등록하여 성적 취득

    - 신청일 당시 1차 학기 이수 및 2차 학기 재학중

    - 첫 학기 수강한 과목이 모두 F를 받아도 해당 학기는 성적 취득 학기로 인정

  ② 2개 학기 각각 12학점 이상 이수

  ③ 신청하려는 학과의 전공탐색 세미나 필참

 다. 기타사항: 전공개방과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붙임1 파일 참고

 

2. 전공개방 세미나 신청

 가. 신청 기한: 2025. 9. 29(월) ~ 10. 26(일)

 나. 제출 서류: 붙임2 작성 후 온라인 제출

 다. 제출처: cauhuman@cau.ac.kr

 라. 기타

  1) 희망하는 전공의 전공개방세미나에 참석해야 함

  2) 세미나를 참석하더라도 신청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 전공개방 조건 미충족

  3) 전공개방 세미나는 학과별로 개최될 예정이며, 신청한 학생들에게 개별 연락 예정

  4) 전공개방 신청의 정확한 일정은 학과에서 추후 공지 예정

   

 

전공개방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신 학생들은 인문대학 교학지원팀(02-820-5047)으로, 해당 학과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신 학생들은 해당 학과 사무실에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2025. 9

인문대학 교학지원팀

유럽문화학부 0 2025.09.29
[공지]
1. 선발대상
교직과정이 설치된 학과()의 4차 학기(2학년 2학기재학생 중 교직과정 이수를 희망하는 학생
선발시기에 휴학으로 인하여 현재 5차 학기인 학생은 신청 가능
 
2. 자격제한
교직과정이 설치되지 않은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다음페이지 <교직과정 설치학과참조)
기존에 교직과정 이수신청서를 제출한 이력이 있는 자
. 3학년 편입생
휴학생
 
3. 신청기간 2025년 9월 17() ~ 10월 1() 기간엄수
 
4. 신청방법 소속 학과 사무실에 <교직과정 이수신청서>(별지서식)를 제출
▷ 방문또는 스캔본 이메일 신청 가능 (이메일 신청 시 반드시 학과로 이메일 수신 여부 확인 요망)
 
5. 선발인원 학과별 교직 승인인원 이내에서 선발
 
6. 선발방법 교직과정 이수신청서를 제출한자(선발 대상기준에 해당하는 자중 학업성적 및 면접심사(교직 적성 및 인성 요소 고려)를 통하여 학과별 선발가능 인원 내에서 선발
 
7. 동점자 처리 기준(다음 각 항의 순서에 의함)
① 면접심사 점수(교직 적성 및 인성)가 높은 자를 우선 선발
② 취득학점 수가 많은 자를 우선 선발
③ 학과 별 선발지침에 따름(학과 주관사항)
 
8. 선발 제한 기준
면접심사에서 교직 적성 및 인성 요소에서 부적격 판정되는 경우 교직 선발 정원에 미달되더라도 선발하지 않음
 
9. 기타 안내사항
▷ 사범대학 학생은 주전공 교직이수 신청을 하지 않음
(사범대학 및 일반대학 주전공 교직 선발자가 복수전공 학과에서 교직이수를 희망하는 경우 복수전공 교직과정 이수 신청을 별도 실시함복수전공 학과에 대한 교직 신청 시기는 금년도 주전공 교직과정 이수예정자 선발 발표 이후인 12월 중순으로 예정되어 있으며추후 중앙대학교 및 교직팀 홈페이지를 참조)

 
2025. 9.
사범대학 교직팀
[참고교직과정 설치학과 현황 (2024학년도 입학정원 기준)
 
 
모집단위 교육부 승인인원
(선발가능 인원)
자격관련
대학 학과(학부,전공) 자격종별 표시과목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3 중등학교 정교사(2) 국어
영어영문학과 7 중등학교 정교사(2) 영어
유럽문화학부 독일어문학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독일어
유럽문화학부 러시아어문학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러시아어
아시아문화학부
일본어문학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일본어
아시아문화학부 중국어문학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중국어
철학과 2 중등학교 정교사(2) 철학
역사학과 3 중등학교 정교사(2) 역사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4 전문상담교사(2)
문헌정보학과 2 사서교사(2)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2 중등학교 정교사(2) 물리
화학과 2 중등학교 정교사(2) 화학
생명과학과 3 중등학교 정교사(2) 생물
수학과 3 중등학교 정교사(2) 수학
적십자
간호대학
간호학과 19 보건교사(2)
생명공학대학 식품공학부
식품영양전공
3 영양교사(2)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연극영화
공연영상창작학부
영화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연극영화
공연영상창작학부
사진전공
3 중등학교 정교사(2) 사진
공연영상창작학부무용전공 3 중등학교 정교사(2) 체육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미술
미술학부
서양화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미술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 중등학교 정교사(2) 공예
전통예술학부
음악예술전공
3 중등학교 정교사(2) 음악
전통예술학부
연희예술전공
3 중등학교 정교사(2) 음악
6개대학 25개 학과(전공) 83    
 
[별지서식]

교직과정 이수신청서 (주전공)
(null)
 
 
 
 
 
1. 인적사항
 
이름   학번  
입학년도 년 월 생년월일  
연락처   성별  
소속 대학 학과(학부,전공)
전과내역 (해당자만)
년 월 일 학과에서 학과로 전과
 
 
 
 
2. 자격취득요건 본인은 하단의 취득요건을 안내받았음을 확인합니다. (서명)
 
본 대학교 소정의 전 과정을 이수하여 졸업이 가능하여야 함
교직소양 6학점 이수교직실무 1학점디지털교육 1학점 이수 포함
전공과목 및 교직과목에 대한 소정의 학점을 이수하고 재학 중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2회 이상 적격 판정 (1학기에 1회만 인정)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2회 이상 (1학기에 1회만 인정)
성인지 교육」 2회 이상 이수하여야 함 (1년에 1회만 인정)

졸업 시까지 전공과목 75교직과목 80점 이상의 성적기준을 충족하여야 교원자격증 발급이 가능함
선발된 경우 이전 연도 입학자라도 2024학년도 입학자와 동일한 교직이수 기준을 적용 받게 됨

 
 
위 사람은 위와 같은 교사자격기준에 의하여 교원자격검정을 위한 교직과정을 이수 하고자 신청합니다.

2025 년 월 일

신청자: ()
 
 
사 범 대 학 장 귀하
 
 
 
유럽문화학부 0 2025.09.17
[공지]

2025년 8월 인문대학 졸업자 학위기 배부 

현재 유럽문화학부 사무실의 경우 835호로 이전한 상태입니다.
전화 선 연결이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전화보다 메일 주시면 빠르게 답변 가능합니다.

 

1. 배부 일정 : 25. 8. 18 (월) 10시 이후

2. 배부 장소 : 각 학과(부) 사무실

  - 유럽문화학부 소속 전공은 유럽문화학부 사무실(203관 835호, 02-820-5142)에서

    아시아문화학부 소속 전공은 아시아문화학부 사무실(203관 624호, 02-820-5172)에서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3. 학과(부) 별 연락처 

학과(부) 전화 학과사무실 위치
국어국문학과 5084 203-836
영어영문학과 5095 203-525
독일어문학전공 5105 203-613
프랑스어문학전공 5171 203-612

유럽문화학부사무실 및 

러시아어문학전공

5239 203-835
일본어문학전공 5118 203-517
중국어문학전공 5243 203-624
철학과 5130 203-614
역사학과 5137 203-720
 
유럽문화학부 0 2025.08.14
[공지]
2025-2학기 인문대학 학점등록 신청 안내
 
1. 허가요건
  1) 총 8학기 이상 이수하였고 수강신청 학점이 10학점 미만인 자
  2) 총 7차 학기 이수 후 졸업에 필요한 학점이 10학점 미만으로 부족하고전체성적 열람용 평균평점 이 4.00 이상인 자
  3) 2학년 편입학생은 6학기 이상 3학년 편입학생은 4학기 이상 이수하였고 수강신청 학점이 10학점 미만인 자.
 
2. 제한사항
  1) 학점등록 대상자는 봉사활동산학협동인턴십수업 등으로 학점등록 대체는 허가하지 않는다.
  2) 학점등록 허가자는 휴학을 신청할 수 없다.
       다만학칙 제23조 항에 해당하는 경우 학점등록을 취소하며 이미 납부한 등록금은 반환한다.
  3) 학점등록 허가자는 수강신청 정정 및 수강과목 취소를 할 수 없다.
  4) 2006학년도 이전에 하향 전과()한 자는 학점등록을 허가하지 않는다.
 
3. 절차
  학점등록신청서(첨부파일) 작성 후 제출
     - 방   문 : 중앙대학교 203관(서라벌홀) 502호 인문대학 교학지원팀
     - 이메일 : 인문대학 민원메일(cauhuman@cau.ac.kr)


4. 기한
  2025. 8. 25(월) 10:00~ 9. 25(목) 18:00
     ※ 고지서에는 익일 반영


5. 학점등록에 따른 학점등록금
   
 
 
※ 학점등록 후 수강정정 및 취소가 불가능하니, 수강정정을 희망하시는 경우
   수강정정기간에 정정 완료를 하신 후(=수강 신청을 확정)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수강정정 기간 이후 '추가등록기간' 과 '최종등록기간'에 등록금을 납부해주셔도 됩니다. 
    (꼭 8월 내에 재학생 등록기간에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유럽문화학부 0 2025.07.11
<  1 2 3 4  >